등비수열
- 개요 - 이번에도 등차수열과 마찬가지로 특별한 규칙이 있는 수열을 다룰 것이다. - 등비수열 - 등비수열 : 연속하는 두 항의 비가 모두 일정한 수열 가령 2, 4, 8, 16, 32, ... 와 같은 수열이 있다면 연속하는 두 항의 비는 제1항과 제2항의 비율 = 1 : 2 제2항과 제3항의 비율 = 1 : 2 제3항과 제4항의 비율 = 1 : 2 따라서 이건 등비수열이다. 이때 두 항의 비는 수열의 모든 연속하는 두 항들의 공통적인 비 이므로 공비 라고 한다. 즉 등비수열에서 연속하는 두 항의 비가 공비이다. 아까 예로 들었던 2, 4, 8, 16, 32, ... 이 수열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다. 공비는 영어로 common ratio 이고, 기호 r로 쓴다. - 등비수열의 일반항 - 2, 4,..
2021. 9. 22.
등차수열
- 개요 - 내가 수열은 규칙이 없어도 된다고 했는데 보통 수학I에서는 규칙이 있는 수열을 다루고 여기서는 그 중 어떠한 특별한 규칙이 있는 '등차수열'을 다룰것이다. - 등차수열 - 등차수열 : 연속하는 두 항의 차이가 모두 일정한 수열 가령 1, 3, 5, 7, 9, ... 와 같은 수열이 있다면 연속하는 두 항의 차이는 제1항과 제2항의 차이 : 2 제2항과 제3항의 차이 : 2 제3항과 제4항의 차이 : 2 따라서 이건 등차수열이다. 이때 두 항의 차이는 수열의 모든 연속하는 두 항들의 공통적인 차이 이므로 공차 라고 한다. 즉 등차수열에서 연속하는 두 항의 차이가 공차이다. 아까 예로 들었던 1, 3, 5, 7, 9, ... 이 수열은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다. 공차는 영어로 common dif..
2021. 9. 21.
수열의 정의
- 개요 - 수열은 최근 수능수학 킬러 포지션에 있는 단원이다. 15번으로 자주 나온다. 어려워서 틀린다기보단 수학I 이다보니까 다른 과목 하느라 공부를 안해서 틀린다고 보는게 맞다. 이번엔 수열의 기본 정의와 용어만 알아볼것이다. - 수열의 정의 - 영어로는 sequence 이다. 즉 수열이란 수를 순서 있게 나열한 것이다. 1, 2, 3, 4, 5 같은 게 수열이다. 수를 순서 있게 나열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수열엔 규칙이 없어도 된다. 9, -π, 0.39, sin11°, 0 이런것도 수열이다. 다만 순서 있게 나열해야 하기 때문에 1, 2, 3, 4, 5와 2, 1, 3, 4, 5는 다른 수열이다. 여기서 수열을 이루는 각각의 수를 '항(term)' 또는 '원소(element)'라고 한다. 가령..
2021.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