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수형 기준입니다.
혹시 본인이 못 푼 문제인데
어떻게 푸는건지 궁금해서 이 글을 보는거라면
이 글을 보지 말것.
남이 풀어주는걸로는 실력이 늘지 않는다.
풀긴 풀었는데 풀면서 100%확신하진 못하고 약간 찜찜했거나
다른 풀이도 있을까 해서 찾아보는거라면
매우 환영이다.
원하시는 문제로 바로 가고싶으면
N번 문제로 가고싶다면
N )
이 형태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24번으로 가고싶으면 24 )
쉬운건 빠르게 넘어가면서
비약 하나도 없이 풀어보겠습니다.
23 )
이항정리의 기본 예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YeXhB/btro32ms2yI/2v7GOlL7HYrjxj8NBn2JXk/img.png)
따라서 답은 4번
24 )
이항분포의 기본 예제이다.
V(2X) = 2²V(X) = 40
따라서 V(X)=10이고
V(X)=npq = n × 1/3 × 2/3 = 2n/9 = 10
따라서 n = 45
따라서 답은 4번
25 )
우선 (나)조건을 만족하는 (a, b)는
3² - 2² = 5 이고
2² - 3² = -5 이므로
(2, 3), (3, 2) 뿐이다.
즉 a=2, b=3
또는 a=3, b=2 이다.
- a=2, b=3인 경우 -
![](https://blog.kakaocdn.net/dn/YInP5/btroWnkSRml/GWigyUWTfgcKJOVQOSIKr0/img.png)
이 식에 값을 대입하면
![](https://blog.kakaocdn.net/dn/TbNkX/btro6bXIXfp/iH7sOReFx5twQhKehNOO1k/img.png)
근데 c, d, e는 자연수라고 한다.
따라서 c, d, e가 0이면 안된다.
1이 7개 있는걸 c, d, e에게 나눠줘야하는데
c, d, e가 무조건 1을 하나씩은 가져야한다.
그럼 일단 나눠주고 보자.
그러면 c = c'+1
d = d'+1
e = e'+1
이렇게 표현 가능하다.
![](https://blog.kakaocdn.net/dn/ddjtVI/btro32z0dTo/eh05k2fRtugXxzlYmvkqEK/img.png)
따라서 이제
이걸 만족하는 음이아닌 정수해 (c', d', e')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많이 익숙한 기본예제형태가 되었다.
1이 4개있는걸 3명에게 중복허용해서 나눠준다.
![](https://blog.kakaocdn.net/dn/Y6pgf/btro8xsr1Bh/PpZXt8Ka31ekIM9QbQgSPK/img.png)
따라서 이때 경우의 수는 15이다.
- a=3, b=2인 경우 -
![](https://blog.kakaocdn.net/dn/YInP5/btroWnkSRml/GWigyUWTfgcKJOVQOSIKr0/img.png)
이 식에 값을 대입하면
![](https://blog.kakaocdn.net/dn/TbNkX/btro6bXIXfp/iH7sOReFx5twQhKehNOO1k/img.png)
공교롭게도 아까와 똑같은 상황이 되었다.
따라서 이것의 경우의 수도 15이다.
따라서 최종적인 경우의 수는
15+15 = 30
따라서 답은 1번
26 )
우선 확률을 구하라 하니까
전체 경우의수부터 구해보자.
10장의 카드중 임의로 3장을 동시에 꺼낸다.
![](https://blog.kakaocdn.net/dn/bv8rPf/btroWnZxHJ5/LTlro1KmUCQOQxvpQEdPE1/img.png)
따라서 전체 경우의 수는 120이다.
이제 꺼낸 3개의 카드에 적힌 숫자중
가장 작은 수가 4 이하이거나 7 이상인 경우의 수를 구해야한다.
- 가장 작은수가 4 이하인경우 -
우선 1~10중에서 3장 꺼내는데
가장 작은수가 4 이하려면
우선 1~4중에서 하나는 무조건 뽑아야하고
나머지는 뭘 뽑든 상관이없다.
근데 여기서 잘못생각할수 있는게
잘못된풀이부터 보여주겠다.
1~4중에서 하나 뽑아야되니까 이때 경우의수 4
그리고 나머지 3장은 남은 9장중 아무거나 뽑으니까
이때 경우의수 9C2 = 36
따라서 경우의수는 4×36= 144..?
전체 경우의 수가 120인데
가장 작은수가 4 이하인 경우의수가 144인 말도안되는 상황이 벌어진다.
경우의 수를 셀때
같은 경우를 여러개 중복해서 센것이다.
왜그럴까?
일단 1~4중에서 하나 뽑는 경우의수 4인 것까진 맞다.
근데 이 다음이 문제다.
나머지 2장을 남은 9장중 아무거나 뽑으니까 9C2 이다?
그럼 남은 9장중 1~4 사이의 숫자가 뽑힐수도 있는거다.
그러면 무슨일이 벌어지냐면
처음에 1~4중에서 하나 뽑은게 1이라고 쳐보자.
그럼 그 다음에 2장 뽑을때 2~4중에 뽑힐수도 있다.
예를들어 최종적으로 뽑은게 1, 2, 7 이라고 해보자.
근데 처음에 1~4중에서 뽑은게 2면?
그리고 그다음에 2장뽑았을때 뽑힌게 1,7 이라면?
이것도 최종적으로 뽑은게 1, 2, 7이다.
즉 이런식으로 구하면 같은게 중복해서 더해진다.
그래서 이렇게 구하면 안된다.
왜 문제였냐면
뽑는 3개의 카드중
1~4가 몇개있을지 모르기때문이다.
이걸 위와같은 방법으로 구하고싶으면
뽑는 3개중 1개가 1~4 인 경우
뽑는 3개중 2개가 1~4 인 경우
뽑는 3개중 3개가 1~4 인 경우
이렇게 나눠서 해야한다.
물론 복잡한건 아니라 하라면 할순 있는데
더 효율적인 방법이 있다.
여사건을 이용할것이다.
가장 작은수가 4 이하인 사건의 여사건은
가장 작은수가 5 이상인 사건이다.
전체 경우에서 이걸 빼주면 되는거다.
가장 작은수가 5 이상인 사건은 구하기 쉽다.
왜냐면 5~10 에서만 3개 뽑으면 되기 때문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mDlHN/btro7gR2Sgz/neTffla8s0MkX6Gzj17IW0/img.png)
따라서 여사건의 경우의수가 20이다.
따라서 우리가 진짜 구하고자 하는
가장 작은수가 4 이하인 경우의수는
전체 - 여사건 = 120-20 = 100
- 가장 작은수가 7 이상인경우 -
1~10 중에서 3장 꺼내는데
가장 작은수가 7 이상이려면
7~10중에서만 3장 꺼내야한다.
따라서 경우의 수는 ₄C₃ = 4 이다.
따라서
꺼낸 3개의 카드에 적힌 숫자중
가장 작은 수가 4 이하이거나 7 이상인 경우의 수는
100+4 = 104 이다.
따라서 확률은
104/120 = 13/15
따라서 답은 3번
27 )
통계문제가 등장했다. 점수자판기다.
뭔가 무섭게생기고 문제길이 긴거빼곤 아무것도 없는문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0NDg0/btro39eI1bA/DlBOcfpTvKmGgttccgRlE0/img.png)
1회 충전 주행거리를 확률변수 X라 하면
확률변수 X가 정규분포 N(m, σ) 를 따른다.
![](https://blog.kakaocdn.net/dn/bVCI4z/btro7hpS6xJ/NKkYBCZIFlYTiVInHpnw51/img.png)
표본평균과 모평균의 신뢰구간이 등장했다.
따라서 표본평균으로 모평균 추정 문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8oVI/btroWoqxLFc/0FcF75x49SurBnEYZA5KoK/img.png)
문제에서 준 이 조건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는다.
a를 표준화하면 -1.96이며
b를 표준화하면 1.96이다.
따라서 여기서 신뢰상수는 1.96이다.
따라서
![](https://blog.kakaocdn.net/dn/k92rb/btro7fyQCUh/mdlDKEZFSJ9kRKjyB7hy30/img.png)
이 식은 다음과 같이 쓸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k5Ss7/btro6bcp9Jz/GWttVGxKCZXEXb73obZyO0/img.png)
문제에서 묻는건 b-a(신뢰구간의 길이) 니까
아래의 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NRXcE/btro6I2c4M8/kCUO1wUqDX7yqQ7m0MTdUk/img.png)
b-a = 0.392σ
이제 이 값을 알아내기 위해
![](https://blog.kakaocdn.net/dn/d1zOKR/btroVq9FhrQ/03CQtJUj9PCUl7Mi1h7Lx0/img.png)
이것의 식을 쓰고
![](https://blog.kakaocdn.net/dn/wo4oD/btro09lKktF/nl0AkdMx9pYdgkokkczmz1/img.png)
문제에서 제시한 이 조건을 이용하면 될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Z0jDD/btro31gLZhS/3DpJORHi1G0OAFvBNDE8sk/img.png)
우선 이 문장에 의해
c를 표준화하면 -2.58이며
d를 표준화하면 2.58이다.
따라서 신뢰상수는 2.58이다.
라는 결론을 얻을수 있다.
따라서
![](https://blog.kakaocdn.net/dn/dVUD93/btroYja5WDf/lhhA7K6f6PMDzkKumk3buK/img.png)
이 식은 아래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https://blog.kakaocdn.net/dn/cfR0CI/btroVk9L6Ko/R1BlJ5sADosjSwpDIuQYq0/img.png)
여기서
![](https://blog.kakaocdn.net/dn/wo4oD/btro09lKktF/nl0AkdMx9pYdgkokkczmz1/img.png)
이걸 이용해 a와 c의 관계식을 쓰면
![](https://blog.kakaocdn.net/dn/rEFJn/btroVqV6kRH/gaVMKKqgkfIWjsX90KMn3k/img.png)
1.34 = 0.067σ
따라서 σ = 20
σ값을 알았으므로 이제 답을 구할수 있다.
b-a = 0.392σ = 7.84
따라서 답은 2번
28 )
(가)조건부터 풀어보자.
![](https://blog.kakaocdn.net/dn/cb5Rva/btro072vjoo/OoKe3b6O286xNMYiS3ZNF0/img.png)
규칙이 바로 눈에 보이지않으니
일단 x값을 하나씩 대입해볼것이다.
f(1)≥1
f(2)≥√2
f(3)≥√3
f(4)≥2
f(5)≥√5
따라서 정리하자면
f(1)이 될수 있는값 : 1, 2, 3, 4
f(2)가 될수 있는값 : 2, 3, 4
f(3)이 될수 있는값 : 2, 3, 4
f(4)가 될수 있는값 : 2, 3, 4
f(5)가 될수 있는값 : 3, 4
그다음 (나)조건을 풀어보자.
![](https://blog.kakaocdn.net/dn/c9jPV4/btroVjQAlw8/hSUcPavnCEbDaAAHpK5yf0/img.png)
따라서 함수 f(x)의 값은
1, 2, 3, 4중 3개의 값만 가질수 있다.
만약 f(x)가 1, 2, 3을 가진다면, f(x)=4일수는 없는거다.
그리고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3이라 했지
3 이하라고 안했으므로
f(x)는 무조건 1, 2, 3, 4중 3개의 값을 가져야한다.
따라서 난 여기서
f(x)가 가질수 없는 값을 기준으로 상황을 분류할것이다.
- f(x)≠1 인 경우 -
f(x)≠1 이라면
f(x)값이 2, 3, 4 중 하나여야하며
2, 3, 4 이 세개는 무조건 함숫값으로 가져야한다.
f(1)이 될수 있는값 : 2, 3, 4
f(2)가 될수 있는값 : 2, 3, 4
f(3)이 될수 있는값 : 2, 3, 4
f(4)가 될수 있는값 : 2, 3, 4
f(5)가 될수 있는값 : 3, 4
여기서 f(5)가 눈에 띄는데
f(5)만 함숫값 2를 가질수 없다.
즉 함숫값 2는
f(1), f(2), f(3), f(4) 중에 골라서 가야한다.
근데 함숫값 2가 꼭 하나만 골라서 가야한다는법은 없다.
f(1)=2, f(2)=2, f(3)=2 여도
f(4)=3, f(5)=4 라면
(가)와 (나) 조건 둘다 만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f(x)가 함숫값 2를 갖게되는 x값의 개수에 따라 나눌것이다.
일단 함숫값 2를 나눠줘서 처리한 다음,
3, 4는 모두가 가질수 있는 함숫값이니까
그 다음엔 3, 4를 부담없이 나눠주면 되는거고
그러면 상황이 좀 쉬워질것이라는 논리이다.
f(x)=2를 만족하는 x값이 1개인 경우
x값을 1~4중 하나 선택해야한다.
따라서 이때 경우의수 4
그러면 나머지 남은 4개의 x값중
함숫값 3, 4를 맘대로 가져가면 된다.
물론 적어도 하나씩은 가져가야한다.
'적어도' 하나씩이니까 여사건으로 풀것이다.
여사건 : 3만 갖거나, 4만 갖는 경우
그런 경우의 수는 2이다.
3만 갖거나, 4만 가질거기때문이다.
그리고 전체 경우의수는 3, 4중 하나를 선택하는 행위를
4번 반복하므로 2⁴ = 16이다.
따라서 구하고자하는 경우의수는 16-2 = 14
따라서 이때 경우의수 14
따라서 f(x)=2를 만족하는 x값이 1개인 경우의 수는
4×14 = 56
f(x)=2를 만족하는 x값이 2개인 경우
x값을 1~4중 두개 선택해야한다.
따라서 이때 경우의수 ₄C₂ = 6
그러면 나머지 남은 3개의 x값중
함숫값 3, 4를 맘대로 가져가면 된다.
물론 적어도 하나씩은 가져가야한다.
이때 경우의수도 아까와 같은 논리로
여사건의 경우의수가 2이고
전체 경우의수가 2³ = 8 이니까
따라서 이때 경우의수 = 8-2 = 6
따라서 f(x)=2를 만족하는 x값이 2개인 경우의 수는
6×6 = 36
f(x)=2를 만족하는 x값이 3개인 경우
x값을 1~4중 세개 선택해야한다.
따라서 이때 경우의수 ₄C₃ = 4
그러면 나머지 남은 2개의 x값이
각각 3과 4를 가져야한다.
따라서 이때 경우의 수는
가능한 조합이 (3,4), (4,3) 두개 뿐이므로 2이다.
따라서 이때 경우의 수 = 2
따라서 f(x)=2를 만족하는 x값이 3개인 경우의 수는
4×2 = 8
f(x)=2를 만족하는 x값이 4개인 경우
f(1)=f(2)=f(3)=f(4)=2 라는건데
그러면 (나)조건에 위배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f(x)≠1인 경우의수는
56+36+8 = 100
- f(x)≠2 인 경우 -
f(x)≠2 이라면
f(x)값이 1, 3, 4 중 하나여야하며
1, 3, 4 이 세개는 무조건 함숫값으로 가져야한다.
f(1)이 될수 있는값 : 1
f(2)가 될수 있는값 : 3, 4
f(3)이 될수 있는값 : 3, 4
f(4)가 될수 있는값 : 3, 4
f(5)가 될수 있는값 : 3, 4
f(1)=1이어야 하는 이유는
누군가는 함숫값으로 1을 가져야하는데
(가)조건에 의해 함숫값으로 1을 가질수 있는게 f(1) 뿐이다.
이제 나머지 3, 4를 나눠주면 된다.
아까와 같은 논리로
여사건의 경우의수 = 2
전체 경우의수 = 2⁴ = 16
따라서 이때 경우의수 = 16-2 = 14
따라서 f(x)≠2 인 경우의수는 14
- f(x)≠3 인 경우 -
f(x)≠3 이라면
f(x)값이 1, 2, 4 중 하나여야하며
1, 2, 4 이 세개는 무조건 함숫값으로 가져야한다.
f(1)이 될수 있는값 : 1
f(2)가 될수 있는값 : 2, 4
f(3)이 될수 있는값 : 2, 4
f(4)가 될수 있는값 : 2, 4
f(5)가 될수 있는값 : 4
이제 나머지 2, 4를 나눠주면 된다.
아까와 같은 논리로 하는데
주의할건 이때 여사건의 경우의수는 1이다.
f(5)=4이기 때문에
f(2), f(3), f(4)가 전부 2여도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이다.
여사건의 경우의수 = 1
전체 경우의수 = 2³ = 8
따라서 이때 경우의수 = 8-1 = 7
따라서 f(x)≠3 인 경우의수는 7
- f(x)≠4 인 경우 -
f(x)≠4 라면
f(x)값이 1, 2, 3 중 하나여야하며
1, 2, 3 이 세개는 무조건 함숫값으로 가져야한다.
f(1)이 될수 있는값 : 1
f(2)가 될수 있는값 : 2, 3
f(3)이 될수 있는값 : 2, 3
f(4)가 될수 있는값 : 2, 3
f(5)가 될수 있는값 : 3
이제 나머지 2, 3를 나눠주면 된다.
아까와 같은 논리로
여사건의 경우의수 = 1
전체 경우의수 = 2³ = 8
따라서 이때 경우의수 = 8-1 = 7
따라서 f(x)≠4 인 경우의수는 7
따라서 최종적인 답은
전부 더해주면
100+14+7+7 = 128
따라서 답은 1번
29 )
통계다. 또 점수자판기이다.
근데 이건
![](https://blog.kakaocdn.net/dn/cqU0U0/btro32GMUOG/2TsFlrD6R1qLwl9mLbxNV1/img.png)
이 식 하나때문에
공통범위 수학을 잘 못하는 학생은 어려워했을거같다.
이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확률밀도함수가 x축과 이루는 면적은 1'
이라는것이다.
Y의 확률밀도함수가 g(x)라 했는데,
Y가 가질수 있는 값의 범위가 0≤Y≤6 이므로
g(x)의 정의역은 0≤x≤6 이다.
![](https://blog.kakaocdn.net/dn/7tWhY/btro31OGj5M/ttPSejNGoJwykkRF12aGaK/img.png)
이 문장을 보면
g(x)의 정의역이 0≤x≤6인데
0≤x≤6인 모든 x에 대하여 저거란다.
즉 함수 g(x)를 다 알려준거다.
f(x)를 이항하면
![](https://blog.kakaocdn.net/dn/bxWZ57/btroT641ALN/pznKVpCIroOl6eNip0hl0K/img.png)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는다.
g(x)는 f(x)를 x축기준 대칭이동한다음,
y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시킨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M3aPW/btroWoc6lwC/sbQF8HejE1KuUg0sdRgVq0/img.png)
일단 f(x)를 x축기준 대칭이동시키자.
![](https://blog.kakaocdn.net/dn/bIRNvZ/btroVkaXOSZ/IV3Ak0rmg2e96l69YhOig0/img.png)
그다음 k만큼 평행이동시키자.
여기서 핵심은
g(x)도 확률밀도함수기 때문에
g(x)≥0 이어야 한다.
즉 g(x)의 그래프는 무조건 x축보다 위에 있어야 하고
g(x)가 x축과 이루는 면적이 1이어야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buHof/btro6a5DyR9/3MeiABgk7WscuZOaImeoc1/img.png)
이게 g(x)의 그래프이다.
이게 x축과 이루는 면적이 1이 되도록 하는
k값을 구하면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EuIcP/btroWo5fAOI/UWT6vF2msIM8BcJ00vQf4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8eQO4/btro59ZZHze/4tg3ggI7U80hyP4sRk6G1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GNlXJ/btroXNwXQkt/1Y1LAEAzzWzRXxelFlEQeK/img.png)
따라서 전체 넓이 = 1 이라는 식을 세우면
![](https://blog.kakaocdn.net/dn/M0GmV/btro13F0fYE/WK4NQLOGHafXIejK06qGN0/img.png)
정리하면 6k=2
따라서 k=1/3
![](https://blog.kakaocdn.net/dn/bBmQw2/btro121q0FC/UoPPObztHeL2neArVztzS0/img.png)
이제 마무리로 이것만 구하면 된다.
k=1/3 이므로
6k=2 , 15k=5 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qYPWc/btro7fFC1wF/dayKp24gG1aQE3rDnBkFN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MmjES/btroWoqAIlU/qFlhVTsgkr7Ladh8y9P5NK/img.png)
우선 g(2) = 1/6 이다.
이제 넓이를 구하면
![](https://blog.kakaocdn.net/dn/lz0HE/btroWoKVSvS/C6oHndZsmMCjYjYGAbXQW1/img.png)
정리하면 넓이는 7/24 이다.
따라서 p=24, q=7
p+q = 31
따라서 답은 31
30 )
우선 확률문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r5Qv8/btro7Dl4Obl/oYpZ61k4r9ikKII1MvdO21/img.png)
그리고 이 문장으로 인해
조건부확률 문제임을 알아낼수 있다.
조건부확률 문제니까
확률을 구할때, 전체 경우의수 대신
![](https://blog.kakaocdn.net/dn/cwzI28/btro7fFDShO/RHBpEk3kEUckfdveDe8KkK/img.png)
이걸 만족할 확률을 분모에 넣을것이다.
각각은 5번의 시행 후 흰공의 개수, 검은공의 개수 인데
주사위를 던지는거기 때문에 각각의 시행은 독립시행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neH5j/btroZF6s5Jr/mRxcNoaBbd6fUMoc5k1ia1/img.png)
이걸 만족시키기 위한 a_5, b_5 의 가능한 조합은
(4, 3), (6, 2), (8, 1), (10, 0)
이 4가지이다.
(4, 3)인 경우는
5 이상의 눈이 2번
4 이하의 눈이 3번
나온 경우이고
(6, 2)인 경우는
5 이상의 눈이 3번
4 이하의 눈이 2번
나온 경우이고
(8, 1)인 경우는
5 이상의 눈이 4번
4 이하의 눈이 1번
나온 경우이고
(10, 0)인 경우는
5 이상의 눈만 5번
나온 경우이다.
각각의 경우의수를 구해보자.
우선
5 이상의 눈이 나올 확률 = 1/3
4 이하의 눈이 나올 확률 = 2/3
- (4, 3)인 경우 -
5 이상의 눈이 2번,
4 이하의 눈이 3번 나온거고
독립시행이니까
다음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mK3jL/btroYi4uSXj/1LEQWg0ita7NP5Jf4su040/img.png)
- (6, 2)인 경우 -
5 이상의 눈이 3번,
4 이하의 눈이 2번 나온거고
독립시행이니까
다음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sAWQH/btro08tD5w9/HYYNYa5ZWSCUpu8M7pL5pk/img.png)
- (8, 1)인 경우 -
5 이상의 눈이 4번,
4 이하의 눈이 1번 나온거고
독립시행이니까
다음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cVnW4p/btro6bctHak/fVj8Ua4h1mQpKk6eDiOCU1/img.png)
- (10, 0)인 경우 -
5 이상의 눈만 0번 나온거고
독립시행이니까
다음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Ca8O0/btroVjQDcle/4ZpXzDXwbQBR3pdQ7YeLg0/img.png)
따라서
![](https://blog.kakaocdn.net/dn/cneH5j/btroZF6s5Jr/mRxcNoaBbd6fUMoc5k1ia1/img.png)
이걸 만족할 확률은
![](https://blog.kakaocdn.net/dn/bjrtEA/btroWDuc2CO/wUbDudxFr1b9hblhC3f9Y0/img.png)
이게 분모에 들어가는거다.
분자에 들어갈건
![](https://blog.kakaocdn.net/dn/TTIT1/btroZFrP3jD/bJaXpBftFZYdkdmvDEd67K/img.png)
이 두개를 전부 만족할 확률이다.
던지는 과정중에 흰공과 검은공의 개수가 같아지는 순간이 존재하냐는거다.
하나씩 보자.
- (10, 0)인 경우 -
이건 누가봐도 존재하지 않는다.
검은공의 개수가 0이기 때문이다.
- (8, 1)인 경우 -
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검은공의 개수가 1이어도
흰공의 개수는 2개씩 늘어나기 때문에
흰공의 개수가 1일수 없다.
- (6, 2)인 경우 -
흰공은 2개씩 늘어나는데
검은공은 1개씩 늘어나므로
딱 세번째 시행에서만 가능하다.
(흰2 검1 검1), (검1 흰2 검1), (검1 검1 흰2)
이 세가지 경우만 가능한것이다.
즉 세번의 시행중
한번은 5 이상의 눈이 나오고
두번은 4 이하의 눈이 나와야한다.
그리고 그 뒤의 두번의 시행에서
5 이상의 눈만 두번 나와야한다.
그래야 흰공과 검은공 개수 합이 7 이상이 된다.
따라서 여기서 구하고자 하는 확률은
![](https://blog.kakaocdn.net/dn/bdyGyr/btro312c0p3/6jBYkk66jsoYaaHtQofEqk/img.png)
- (4, 3)인 경우 -
이것도 마찬가지로
흰공은 2개씩 늘어나는데
검은공은 1개씩 늘어나므로
딱 세번째 시행에서만 가능하다.
(흰2 검1 검1), (검1 흰2 검1), (검1 검1 흰2)
이 세가지 경우만 가능한것이다.
즉 세번의 시행중
한번은 5 이상의 눈이 나오고
두번은 4 이하의 눈이 나와야한다.
그리고 그 뒤의 두번의 시행에서
5 이상의 눈이 1번
4 이하의 눈이 1번 나와야한다.
그래야 흰공과 검은공 개수 합이 7 이상이 된다.
따라서 여기서 구하고자 하는 확률은
![](https://blog.kakaocdn.net/dn/sbE68/btro6aR8b80/4kVQmxkkykwaxIjRjrC88k/img.png)
따라서
![](https://blog.kakaocdn.net/dn/TTIT1/btroZFrP3jD/bJaXpBftFZYdkdmvDEd67K/img.png)
이 두개를 전부 만족할 확률은
![](https://blog.kakaocdn.net/dn/cc8ejR/btro32thDPm/XPoGkcAWP4mANPrRLdzx3K/img.png)
얘가 분자에 들어가는것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확률은 다음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sZUyx/btro13TyeMg/yt9OMrHd8OIKkSI7Ezmwq1/img.png)
따라서 p=131, q=60이고
131+60=191
따라서 답은 191
'2022학년도 기출 해설 > 2022학년도 수능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학년도 수능 물리II 해설 (0) | 2021.11.23 |
---|---|
2022학년도 수능 물리I 해설 (0) | 2021.11.21 |
2022학년도 수능 수학 미적분 23번~30번 해설 (0) | 2021.11.19 |
2022학년도 수능 수학 공통 16번~22번 해설 (0) | 2021.11.19 |
2022학년도 수능 수학 공통 1번~15번 해설 (0) | 2021.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