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13 도플러 효과 - 음원만 움직이는 경우 문제는 뭔가 어려울거같이 생겼는데 사실 쉬운곳이다. - 도플러 효과 - 어떤 파동의 파원과 그 파동을 관찰하는 관찰자 사이에 상대속도가 있으면 정지해있을때와 다른 파동의 진동수와 파장이 측정되는데 이를 도플러 효과라고 한다. 교육과정 내에 있는건 한 가지밖에 없다. 음원이 움직이고 관찰자가 정지해있을때 이다. 관찰자가 움직이는건 안나온다. 즉 이것만 할줄알면 된다. - 음원이 움직일때 - 음원 S가 주기 T인 소리를 발생하면서 정지해 있는 관찰자를 향해 속력 v로 다가가고 있다. 공기 중에서 소리의 속력을 V라고 하면 일단 관찰자가 측정한 소리의 속력은 관찰자가 움직이고있지 않으므로 V이다. 근데 측정된 파장은 원래것보다 짧아진다. 얼마나 짧아지냐면 소리의 주기가 T이므로 음원은 T 시간 후 다음 파장의.. 2021. 8. 28. 전자기파의 발생과 수신 물리I 의 전자기파 단원의 약간 심화 과정이다. - 전자기파 발생 원리 - 전자가 가속도 운동을 하게 되면 전자 주위에 생기는 전기장이 변하게 되고 변한 전기장이 또 변한 자기장을 만들고 또 변하는 자기장은 변하는 전기장을 만든다. 이런 식으로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유도하면서 공간으로 퍼져나가는것을 전자기파라고 한다. 전기장의 진동방향, 자기장의 진동방향, 전자기파의 진행방향 모두 서로 수직이다. 전기장의 변화와 자기장의 변화중 어느것이 먼저인지는 상관없다. 서로가 서로를 유도하며 나아간다. 다만 전자를 가속도운동시키는게 더 쉽기때문에 보통은 전기장의 변화를 먼저 만든다. 1. 도체인 안테나가 있다. 2. 전자기파를 만들려면 여기있는 전자를 진동(가속도운동)시키면 된다. 3. 그러려면 안테나에 교류 전.. 2021. 8. 28. 파동의 간섭과 회절 물리I 에서의 파동 단원의 내용은 숙지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진행합니다. 파동의 기본 성질과 파동의 간섭은 생략하겠다는뜻 - 파동의 회절 - 파동이 슬릿이나 장애물의 뒤쪽까지 퍼지는 현상으로, 일직선으로 진행하던 파동의 진행 경로가 휜다고 생각하면 된다. 파장이 길수록, 슬릿의 폭이 좁을수록 회절이 잘 된다. 더 넓게 퍼진다고 보면 된다. 벽 뒤에 뭐가 있는진 모르지만 거기서 나는 소리는 들을 수 있는 이유는 음파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기때문에 음파가 더 회절이 잘돼서 소리는 들을수있는데 빛은 못보는것이다. '슬릿' 이라는건 그냥 '좁은 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영의 이중 슬릿 간섭 실험 - 빛의 파동성을 입증하는 실험이다. 최종 결론내기까지 좀 어려워서 여러번 읽고 문제를 풀어봐야 이해가 될것이다.. 2021. 8. 28. 자기 - 물리I 복습 + 상호 유도 원래같았으면 물리I과 똑같은 내용이니까 건너뛰었다면서 바로 다음내용인 상호유도로 넘어갔을텐데 물리II에서는 물리I에서보다 문제가 어렵게 나오기 때문에 더 어려운 예제들을 풀어보면서 복습하고 가야한다. 물리I 의 자기 단원을 숙지하고있다고 가정하고 진행합니다. - 복습 - - 전류에 의한 자기장 - 1. 직선 도선에 의한 자기장 전류의 세기 I에 비례하고, 도선으로부터의 수직 거리 r에 반비례하며, 방향은 앙페르의 오른손법칙을 따른다. 2. 원형 도선에 의한 자기장 원형 도선 중심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는 전류의 세기 I에 비례하고, 도선의 원 반지름 r에 반비례한다. 방향은 앙페르의 오른손법칙을 따른다. 전류의 방향을 네 손가락으로 감싸면 엄지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이 중심에서의 자기장의 방향이다. 3. 솔레.. 2021. 8. 28. 전기 #5 - 축전기 여기서는 평행판 축전기만 다루며 주로 직류회로와 연계돼서 나온다. - 축전기 - capacitor, condenser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전기 소자이다. 축전기에 충전되는 전하량 Q는 두 극판 사이의 전위차 V에 비례한다. 등식으로 쓰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C는 전기용량이다. - 전기용량 - 말 그대로 전기를 얼마나 많은 용량 담을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사전적 의미는 축전기의 전압을 1V 높이는 데 필요한 전하량이다. 전기 용량은 두 극판의 넓이와 극판 사이의 유전율에 비례하고, 극판 사이 간격에 반비례한다. ε : 유전율 A : 두 극판의 넓이 d : 극판 사이 간격 전기용량의 단위는 F(Farad)인데 1F이 축전기한테 너무 큰 수라 µF 으로도 쓴다. - 유전율 - 극판 사이에 .. 2021. 8. 27. 전기 #4 - 트랜지스터와 바이어스 전압 원래 트랜지스터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고 특히 바이어스 전압이라는건 최근에 교육과정에서 처음 들어온 개념이라 기출 자체가 몇개 없다. 6월 9월 모평에서 내놓고 아직 수능엔 안나왔다. 개인적인 생각인데 올해 수능에 나올거같다. 물리I의 반도체 단원을 알고있다고 가정하고 진행합니다. 모르면 읽고 올것 https://zhonya.tistory.com/13?category=996051 물질의 구조와 성질 #4 - 반도체와 다이오드 여기도 암기 이건 1.3번정도 읽으면 다맞는다. 쉬운데 대부분 3점짜리로 출제돼서 점수자판기다. 평가원이 6모 9모에서 실컷 내놓고 최근에 수능에서 안낸걸로 보아 올해 수능에 나오지 않을까 zhonya.tistory.com - 트랜지스터 - p-n 접합 반도체에 p형이나 n형 반.. 2021. 8. 27.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36 다음